[논평] 통합진보당 강원도당
도민의 세금 낭비하는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아이스하키장 이전, 누구의 돈으로 할 것인가.
아이스하키장 건설에 대하여 원주와 조직위원회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원주시는 동계올림픽을 통해 지역의 균형발전을 내세워 원주에 아이스하키장 건설을 촉구하고 있고, 조직위원회는 접근성과 개최지 변경 불가를 내세워 원주 불가론을 펼치고 있다.
분산개최에 대한 갈등은 이미 예견되었던 것이다. 2010년까지만 해도 조직위원회는 분산개최 가능의 입장을 가졌었다. 2014년 동계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원주에 120억의 종합체육관 건설비용 지원을 약속하며 강릉에 아이스하키장을 건설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물론, 120억의 지원금은 받지 못했다. 원주시는 억울할 만 하다.
조직위원회는 아이스하키장을 강릉에 건설하고 올림픽 이후 원주 이전을 약속했다. 최문순 지사도 지난 7월 19일 원주, 횡성 사회단체 면담에서 아이스하키장의 원주 이전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이스하키장 이전, 그렇게 쉬운 것인가?
아이스하키장의 이전비용은 최소 600억에서 최대 1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비용과 맞먹는 수준이다. 기껏 지은 시설을 분해하여 이전, 재건설을 약속한 조직위원회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이 갈등을 모면하고자 짜낸 고육지책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강원도의 2012년 재정자립도는 22%, 전국 최하위권이다. 알펜시아의 하루 이자는 1억 1천만원 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 건설에 최소 3000억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미 강원도는 세 번의 유치 도전으로 많은 손해를 보았다.
중앙정부도, 강원도 지방정부도 지금까지 낭비된, 낭비되고 있는 혈세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전비 최대 1000억원 부담을 약속하는 조직위원회와 최문순 지사는 무슨 생각인가.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시설분산을 통해 올림픽 이후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 도민들의 문화, 체육 수준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정쟁과 지역 이기주의, 주먹구구식 조직위 운영으로 인한 도민의 피해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
지금 조직위는 ‘어디에’가 아닌 ‘어떻게’를 더 고려하여 동계올림픽을 준비하길 바란다.
2012년 8월 9일
통합진보당 강원도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