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의회, 강정호 의원(속초1) 요구 속초항 국제 여객터미널 매입 조속 ‘완료’해야 도와 속초시, 적극적인 정책 마련 필요 ‘강조’ 속초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운항하는 국제 카페리가 지난 11월 20일 정식 취항하면서 속초 지역 경기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지만, 실제로는 여객 운송과 화물수송 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강정호 의원(속초1)이 도 담당 부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 2차례 운항하며 승객 700명과 화물 15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 차량 350대를 운송할 수 있는 속초항 카페리는 지난 12월 15일 기준으로 8항차 운영되어 여객 332명과 화물(차량) 12대 수송을 기록해, 한 달 평균 여객 160명, 화물(차량) 6대로 실적이 매우 미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같은 기간 동해항은 여객 3,056명, 화물(차량) 418대를 기록하여 평균 여객 1,500명, 화물(차량) 200대로 속초항 실적과 큰 차이를 보였다. (참고자료) 속초항-동해항 실적 비교 (‘23.11.20.~12.15.) * 여객 운송 실적 구분 | 속 초 항 | 동 해 항 | 비고 | 계 | 한국 | 러시아 | 기타 | 계 | 한국 | 러시아 | 기타 | 계 | 332 | 89 | 217 | 26 | 3,056 | 722 | 2,229 | 105 | | 11월 | 150 | 31 | 100 | 19 | 2,246 | 556 | 1,608 | 82 | | 12월 | 182 | 58 | 117 | 7 | 810 | 166 | 621 | 23 | |
* 화물수송 실적 구분 | 속 초 항 | 동 해 항 | 비고 | 컨테이너 | 차량(대) | 중장비 | 벌크 | 컨테이너 | 차량(대) | 중장비 | 벌크 | 계 | - | 12 | 2 | - | 36 | 418 | 66 | 21 | | 11월 | - | - | - | - | 25 | 272 | 61 | 21 | | 12월 | - | 12 | 2 | - | 11 | 146 | 5 | - | |
앞서 23년 도 행정 사무감사에서 속초 당일 입출항으로 인해 지역 경기 활성화 측면에서의 효과성 미비를 지적하며 카페리 출항 시간의 변경을 주장했던 강정호 의원은, “속초항 카페리가 출항한 지 두 달이 다 되어가지만, 아직 뚜렷한 실적이 나타나지 않고 있고 체감하는 경제적 효과는 미진하다”라며, “수출입 및 관광사업을 위한 항로 안정화가 빠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도는 지지부진한 속초항 국제 여객터미널 매입을 조속히 완료하여, 현재 분리가 되어 있는 승객과 화물 운송의 일원화를 통해, 속초항이 명실상부 환동해권 관광, 물류의 메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라며, “승객 및 화물 유치 등 속초항 국제 카페리 활성화를 위한 도와 속초시의 적극적인 정책 마련도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속초항을 모항으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을 오고 가는 북방항로는 10년 만에 재개되어, 지난 11월 20일 정식 취항해 지역산업 상생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대를 모았다. 편집정리 한승윤 기자 기사제보 metropolenews@naver.com |